제제에서의 약제학적 부형제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의 적용

최근 몇 년간 제약 부형제인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의 제조에 관한 국내외 관련 문헌을 검토, 분석, 요약하였으며, 고형 제제, 액상 제제, 지속형 및 지속형 방출 제제, 캡슐 제제, 젤라틴, 접착제 제제, 생체접착제와 같은 신규 제형 분야에서의 최신 응용 분야를 살펴보았습니다. HPMC는 상대 분자량과 점도의 차이로 인해 유화, 접착, 증점, 점도 증가, 현탁, 겔화 및 필름 형성의 특성과 용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제약 제제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제제 분야에서 더 큰 역할을 할 것입니다. 그 특성에 대한 심층 연구와 제형 기술의 개선으로 HPMC는 새로운 복용 형태 및 새로운 약물 전달 시스템 연구에 더 널리 사용되어 제형의 지속적인 개발을 촉진할 것입니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약제학적 제제; 약제학적 부형제.

제약 부형제는 원료의약품 제조의 재료가 될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의 난이도, 약물 품질, 안정성, 안전성, 약물 방출 속도, 작용 기전, 임상 효능, 그리고 새로운 제형 및 투여 경로 개발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새로운 제약 부형제의 등장은 종종 제형 품질 향상 및 새로운 제형 개발을 촉진합니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는 국내외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제약 부형제 중 하나입니다. 분자량과 점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유화, 결합, 증점, 현탁, 접착 등의 기능을 합니다. 응고 및 필름 형성과 같은 특징과 용도는 제약 기술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본 논문은 최근 몇 년간 제형에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의 응용 분야를 주로 검토합니다.

1.HPMC의 기본 특성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HPMC), 분자식은 C8H15O8-(C10 H18O6) n- C8H15O8이며, 상대 분자량은 약 86,000입니다. 이 제품은 셀룰로스의 메틸과 폴리하이드록시프로필 에테르의 일부인 반합성 물질입니다. 두 가지 방법으로 생산할 수 있습니다. 하나는 적절한 등급의 메틸 셀룰로스를 NaOH로 처리한 다음 고온 고압에서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반응시키는 것입니다. 반응 시간은 메틸과 하이드록시프로필이 에테르 결합을 형성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길어야 합니다. 셀룰로스의 무수 포도당 고리에 셀룰로스 형태로 연결되어 원하는 정도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다른 하나는 면 린터 또는 목재 펄프 섬유를 가성 소다로 처리한 다음 염소화 메탄과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연속적으로 반응시킨 다음 더욱 정제하는 것입니다. 미세하고 균일한 분말 또는 과립으로 분쇄합니다.

본 제품의 색상은 백색 또는 유백색이며, 무취, 무미이며, 형태는 과립상 또는 섬유상이며 유동성이 좋은 분말입니다. 본 제품은 물에 용해되어 일정 점도를 갖는 투명 또는 유백색 콜로이드 용액을 형성합니다. 특정 농도의 용액은 온도 변화에 따라 졸-겔 상호전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메톡시와 하이드록시프로필의 구조에서 이 두 치환기의 함량 차이로 인해 다양한 유형의 제품이 등장했습니다. 특정 농도에서 다양한 유형의 제품이 고유한 특성을 갖습니다. 따라서 점도와 열 겔화 온도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며 다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다양한 국가의 약전은 모델에 대한 규정과 표현이 다릅니다. 유럽 약전은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의 다양한 점도 등급과 치환도를 기반으로 하며, 등급과 숫자로 표현되며 단위는 "mPa·s"입니다. 미국 약전에서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2208과 같이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의 각 치환기의 함량과 유형을 나타내기 위해 일반 이름 뒤에 4자리 숫자를 추가합니다. 처음 두 자리는 메톡시기의 대략적인 값을 나타냅니다. 백분율, 마지막 두 자리는 하이드록시프로필의 대략적인 백분율을 나타냅니다.

Calocan의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는 E 시리즈, F 시리즈, K 시리즈의 세 가지 시리즈로 나뉘며, 각 시리즈는 다양한 모델을 제공합니다. E 시리즈는 주로 필름 코팅, 정제 코팅, 폐쇄형 정제 코어에 사용됩니다. E, F 시리즈는 점안제의 점성 부여제 및 방출 지연제, 현탁제, 액상 제제의 증점제, 정제 및 과립 결합제로 사용됩니다. K 시리즈는 주로 방출 억제제 및 서방형 및 서방형 제제의 친수성 겔 매트릭스 재료로 사용됩니다.

국내 제조업체로는 주로 푸저우 2호 화학공장, 후저우 식품화학유한공사, 쓰촨 루저우 제약부품공장, 후베이 진셴 화학공장 1호, 페이청 루이타이 정밀화학유한공사, 산둥 랴오청 아화 제약유한공사, 시안 후이안 화학공장 등이 있습니다.

2.HPMC의 장점

HPMC는 다른 부형제에는 없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국내외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제약용 부형제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2.1 냉수 용해도

40℃ 이하의 냉수 또는 70% 에탄올에 녹고, 60℃ 이상의 뜨거운 물에는 기본적으로 녹지 않으나 겔화될 수 있다.

2.2 화학적으로 불활성

HPMC는 비이온성 셀룰로스 에테르의 일종으로, 용액에는 이온 전하가 없고 금속염이나 이온성 유기화합물과 상호 작용하지 않으므로 제제 생산 과정에서 다른 부형제가 반응하지 않습니다.

2.3 안정성

산과 알칼리 모두에 비교적 안정하며, pH 3에서 11 사이에서 점도의 큰 변화 없이 장기간 보관할 수 있습니다. HPMC 수용액은 곰팡이 방지 효과가 있으며, 장기 보관 시에도 점도 안정성이 우수합니다. HPMC를 사용한 제약 부형제는 덱스트린, 전분 등 기존 부형제를 사용한 부형제보다 품질 안정성이 우수합니다.

2.4 점도 조절성

HPMC의 다양한 점도 유도체는 다양한 비율로 혼합될 수 있으며, 점도는 일정한 법칙에 따라 변화될 수 있고, 양호한 선형 관계를 가지므로, 필요에 따라 비율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2.5 대사 불활성

HPMC는 체내에서 흡수되거나 대사되지 않으며 열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안전한 약제학적 제제 부형제입니다.2.6 안전성 일반적으로 HPMC는 무독성, 비자극성 물질로 간주되며, 마우스의 중앙 치사량은 5g·kg-1이고, 랫드의 중앙 치사량은 5.2g·kg-1입니다.1일 복용량은 인체에 무해합니다.

3.제형에 HPMC 적용

3.1 필름코팅재 및 필름형성재로서

HPMC를 필름코팅정 재료로 사용한 코팅정은 당의정과 같은 기존 코팅정과 비교했을 때 맛과 외관을 가리는 데 있어 뚜렷한 이점은 없지만, 경도, 파쇄성, 흡습성, 붕해율, 코팅 중량 증가 등 품질 지표는 우수합니다. 본 제품의 저점도 등급은 정제 및 환제의 수용성 필름코팅제로 사용되며, 고점도 등급은 유기용매계 필름코팅제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2%~20%의 농도로 사용됩니다.

장지싱(Zhang Jixing) 등은 효과 표면법을 사용하여 HPMC를 필름 코팅으로 하는 프리믹스 제형을 최적화했습니다. 필름 형성 물질인 HPMC, 폴리비닐알코올과 가소제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양을 조사 인자로 하여 필름의 인장강도와 투과율, 그리고 필름 코팅 용액의 점도를 검사 지수로 삼고, 검사 지수와 검사 인자 간의 관계를 수학적 모델로 기술하여 최적의 제형 공정을 최종적으로 얻었습니다. 소비량은 각각 필름 형성제인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E5) 11.88g, 폴리비닐알코올 24.12g, 가소제인 폴리에틸렌글리콜 13.00g이고, 코팅 현탁액 점도는 20mPa·s일 때 필름의 투과율과 인장강도가 가장 좋은 효과를 보였습니다. 장위안은 제조 공정을 개선하고, HPMC를 결합제로 사용하여 전분 슬러리를 대체하고, 가화 정제를 필름 코팅 정제로 변경하여 제제의 품질을 개선하고, 흡습성을 개선하고, 퇴색하기 쉽고, 정제가 헐거워지고, 쪼개지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정제의 안정성을 향상시켰습니다.최적의 제형 공정은 직교 실험을 통해 결정되었는데, 즉 코팅 시 슬러리 농도는 70% 에탄올 용액에 2% HPMC이고, 과립화 시 교반 시간은 15분이었습니다.결과 새로운 공정과 처방으로 제조한 가화 필름 코팅 정제는 원래 처방 공정으로 생산된 것보다 외관, 붕괴 시간 및 코어 경도가 크게 개선되었으며 필름 코팅 정제의 합격률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95% 이상에 도달했습니다.양미의, 루샤오후이 등은 또한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를 필름 형성 물질로 사용하여 각각 녹청 결장 위치 정제와 마트린 결장 위치 정제를 제조했습니다.약물 방출에 영향을 미칩니다. 황운란은 용혈 결장 위치 조절 정제를 제조하고, 팽윤층 코팅 용액에 HPMC를 도포하였으며, 그 질량 분율은 5%였다. 이는 HPMC가 결장 표적 약물 전달 시스템에 널리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는 우수한 필름 코팅재일 뿐만 아니라 필름 제형의 필름 형성 재료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왕통순(王通順) 등은 아연감초와 아미노렉사놀 복합 경구용 복합 필름의 처방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필름제의 유연성, 균일성, 평활성, 투명성을 조사 지표로 삼았습니다. 최적의 처방은 PVA 6.5g, HPMC 0.1g, 프로필렌글리콜 6.0g으로, 서방형 및 안전성 요건을 충족하여 복합 필름의 제형 처방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3.2 결합제 및 분해제로서

본 제품의 저점도 등급은 정제, 환제, 과립의 결합제 및 붕해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고점도 등급은 결합제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량은 제품 모델 및 요구 사항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건식 과립 정제의 결합제 사용량은 5%이고, 습식 과립 정제의 결합제 사용량은 2%입니다.

Li Houtao 등은 티니다졸 정제의 결합제를 스크리닝했습니다. 8% 폴리비닐피롤리돈(PVP-K30), 40% 시럽, 10% 전분 슬러리, 2.0%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K4(HPMCK4M), 50% 에탄올을 차례로 티니다졸 정제의 접착력으로 조사했습니다. 티니다졸 정제의 제조. 일반 정제와 코팅 후의 외관 변화를 비교하고, 다양한 처방 정제의 파쇄성, 경도, 붕괴 시간 한계 및 용해 속도를 측정했습니다. 결과 2.0%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로 제조한 정제는 광택이 있었고, 파쇄성 측정에서 모서리 깨짐 및 모서리 현상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코팅 후 정제 모양이 완전하고 외관이 양호했습니다. 따라서 결합제로 2.0% HPMC-K4와 50% 에탄올로 제조한 티니다졸 정제를 사용했습니다. 관석해는 복건녕정의 제형 공정을 연구하고, 접착제를 선별하였으며, 압축성, 평활도, 파쇄성을 평가 지표로 하여 50% 에탄올, 15% 전분 페이스트, 10% PVP 및 50% 에탄올 용액을 선별하였다., 5% CMC-Na 및 15% HPMC 용액(5 mPa·s). 결과 50% 에탄올, 15% 전분 페이스트, 10% PVP 50% 에탄올 용액 및 5% CMC-Na로 제조한 시트는 표면이 매끄럽지만 압축성이 좋지 않고 경도가 낮아 코팅의 필요성을 충족시키지 못했다. 15% HPMC 용액(5 mPa·s)을 사용하면 정제 표면이 매끄럽고 파쇄성이 합격이며 압축성이 양호하여 코팅의 필요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HPMC(5 mPa·s)를 접착제로 선택하였다.

3.3 현탁제로서

본 제품의 고점도 등급은 현탁제로 사용하여 현탁액 형태의 액상 제제를 제조한다. 현탁 효과가 좋고, 재분산이 용이하며, 벽에 달라붙지 않고, 응집 입자가 미세하다. 일반적인 투여량은 0.5%~1.5%이다. Song Tian 등은 흔히 사용되는 고분자 물질(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포비돈, 잔탄검, 메틸셀룰로오스 등)을 현탁제로 사용하여 라세카도트릴을 제조하였다. 건조 현탁액. 다양한 현탁액의 침전 부피비, 재분산 지수, 유동학, 현탁액 점도 및 미세 형태를 관찰하였고, 가속 실험 하에서 약물 입자의 안정성도 조사하였다. 결과 현탁제로 2% HPMC를 사용하여 제조한 건조 현탁액은 공정이 간단하고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메틸셀룰로오스와 비교했을 때,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는 더 투명한 용액을 형성하는 특성이 있으며, 매우 적은 양의 비분산 섬유질 물질만 존재하기 때문에 HPMC는 안과 제제에서 현탁제로도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Liu Jie 등은 HPM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카보머 940,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히알루론산나트륨(HA) 및 HA/HPMC의 조합을 현탁제로 사용하여 다양한 사양의 시클로비르 안과 현탁액을 제조했습니다.침전 부피비, 입자 크기 및 재분산성을 검사 지표로 선택하여 가장 적합한 현탁제를 선별했습니다.결과에 따르면, 현탁제로 0.05% HA와 0.05% HPMC로 제조한 아시클로비르 안과 현탁액의 침전 부피비는 0.998이고, 입자 크기가 균일하며, 재분산성이 좋고, 제제가 안정적입니다.

3.4 차단제, 완속 방출제, 조절 방출제 및 기공 형성제로서

본 제품의 고점도 등급은 친수성 겔 매트릭스 지속 방출 정제, 혼합 재료 매트릭스 지속 방출 정제의 차단제 및 제어 방출제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며 약물 방출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농도는 10%~80%입니다.저점도 등급은 지속 방출 또는 제어 방출 제제의 포로겐으로 사용됩니다.이러한 정제의 치료 효과에 필요한 초기 용량에 빠르게 도달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지속 방출 또는 제어 방출 효과가 발휘되고 체내의 유효 혈액 약물 농도가 유지됩니다.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는 물과 만나면 수화되어 겔 층을 형성합니다.매트릭스 정제에서 약물이 방출되는 메커니즘은 주로 겔 층의 확산과 겔 층의 침식을 포함합니다.심정 등은 지속 방출 물질로 HPMC를 사용하여 카르베딜롤 지속 방출 정제를 제조했습니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는 전통 중의학의 서방형 매트릭스 정제에도 널리 사용되며, 전통 중의학의 활성 성분, 유효 성분 및 단일 제제의 대부분이 사용됩니다.Liu Wen 등은 매트릭스 재료로 15%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1% 유당 및 5% 미결정 셀룰로오스를 충전제로 사용하여 경방 도화정기탕을 경구 매트릭스 서방형 정제로 제조했습니다.모델은 히구치 방정식입니다.제제 구성 시스템이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방출 데이터가 비교적 안정적이어서 중국 약전의 요구 사항을 충족합니다.Tang Guanguang 등은 황기의 총 사포닌을 모델 약물로 사용하여 HPMC 매트릭스 정제를 제조하고 HPMC 매트릭스 정제에서 전통 중의학의 유효 성분으로부터 약물 방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구했습니다.결과 HPMC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황기의 방출은 감소했으며, 약물의 방출 백분율은 매트릭스의 용출률과 거의 선형적인 관계를 가졌습니다. 히프로멜로스 HPMC 매트릭스 정제에서 한약의 유효 성분 방출은 HPMC의 용량 및 종류와 일정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친수성 화학 단량체의 방출 과정도 이와 유사합니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는 친수성 화합물뿐만 아니라 비친수성 물질에도 적합합니다. 류귀화(劉桂华)는 17%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K15M)를 서방형 매트릭스 재료로 사용하여 습식 과립화 및 정제화법을 통해 천산설련 서방형 매트릭스 정제를 제조했습니다. 서방형 효과는 명확했으며, 제조 공정도 안정적이고 타당성이 우수했습니다.

영어: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는 활성 성분과 전통 중의학의 유효 부분의 지속 방출 매트릭스 정제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전통 중의학 복합 제제에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Wu Huichao 등은 매트릭스 물질로 20%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K4M)를 사용하고 분말 직접 압축 방법을 사용하여 약물을 12시간 동안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Yizhi 친수성 겔 매트릭스 정제를 제조했습니다.사포닌 Rg1, 진세노사이드 Rb1 및 Panax notoginseng 사포닌 R1을 평가 지표로 사용하여 시험관 내 방출을 조사했으며 약물 방출 방정식을 맞춰 약물 방출 메커니즘을 연구했습니다.결과 약물 방출 메커니즘은 영차 반응 속도 방정식과 Ritger-Peppas 방정식에 부합했으며, 여기서 제니포사이드는 비픽 확산에 의해 방출되었고 Panax notoginseng의 세 가지 성분은 골격 침식에 의해 방출되었습니다.

3.5 증점제 및 콜로이드로서의 보호 접착제

본 제품을 증점제로 사용할 경우, 일반적인 농도는 0.45%~1.0%입니다. 또한, 소수성 접착제의 안정성을 높이고, 보호 콜로이드를 형성하며, 입자의 합체 및 응집을 방지하여 침전물 생성을 억제합니다. 일반적인 농도는 0.5%~1.5%입니다.

Wang Zhen 등은 L9 직교 실험 설계법을 사용하여 의료용 활성탄 관장제의 제조 공정을 연구했습니다. 의료용 활성탄 관장제의 최종 정량을 위한 최적의 공정 조건은 0.5%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과 2.0%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는 메톡실기 23.0%, 히드록시프로폭실기 11.6% 함유)를 증점제로 사용하는 것이었으며, 이러한 공정 조건은 의료용 활성탄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Zhang Zhiqiang 등은 카보폴을 겔 매트릭스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를 증점제로 사용하여 서방형 효과를 갖는 pH 민감성 레보플록사신 염산염 점안용 즉시 사용 가능 겔을 개발했습니다. 실험을 통해 최적의 처방을 도출한 결과, 최종적으로 최적의 처방은 레보플록사신 염산염 0.1g, 카보폴(9400) 3g,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E50 LV) 20g, 인산수소이나트륨 0.35g, 인산이수소나트륨 0.45g, 염화나트륨 0.50g, 에틸파라벤 0.03g, 그리고 물을 첨가하여 100mL로 만들었습니다. 본 실험에서 저자는 Colorcon 사의 다양한 사양(K4M, E4M, E15 LV, E50LV)의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METHOCEL 시리즈를 선별하여 다양한 농도의 증점제를 제조하였고, 그 결과 HPMC E50 LV를 증점제로 선택했습니다. pH 민감성 레보플록사신 염산염 인스턴트 겔용 증점제.

3.6 캡슐 소재로

일반적으로 캡슐의 캡슐 외피 소재는 주로 젤라틴입니다. 캡슐 외피의 제조 공정은 간단하지만, 습기 및 산소에 민감한 약물에 대한 보호력 부족, 약물 용출 감소, 보관 중 캡슐 외피의 붕해 지연 등의 문제점과 현상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는 캡슐 제조 시 젤라틴 캡슐의 대체재로 사용되어 캡슐 제조 성형성과 사용 효과를 향상시켜 국내외에서 널리 보급되고 있습니다.

Podczeck 등은 테오필린을 대조 약물로 사용하여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껍질을 가진 캡슐의 약물 용해 속도가 젤라틴 캡슐보다 빠르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분석의 이유는 HPMC의 붕괴는 전체 캡슐이 동시에 붕괴되는 반면 젤라틴 캡슐의 붕괴는 먼저 네트워크 구조가 붕괴된 다음 전체 캡슐이 붕괴되기 때문에 HPMC 캡슐이 즉시 방출 제형의 캡슐 껍질에 더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Chiwele 등은 또한 비슷한 결론을 얻었고 젤라틴, 젤라틴/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HPMC 껍질의 용해를 비교했습니다. 결과는 HPMC 껍질이 다른 pH 조건에서 빠르게 용해되는 반면 젤라틴 캡슐은 다른 pH 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Tang Yue 등은 저용량 약물 블랭크 건조 분말 흡입기 운반체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유형의 캡슐 껍질을 검토했습니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캡슐 껍질과 젤라틴 캡슐 껍질을 비교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캡슐 껍질의 안정성과 껍질 내 분말의 특성을 조사하고, 파쇄성 시험을 수행했습니다. 그 결과, 젤라틴 캡슐과 비교했을 때 HPMC 캡슐 껍질은 안정성과 분말 보호성이 우수하고, 내습성이 더 강하며, 파쇄성이 젤라틴 캡슐 껍질보다 낮아 건조 분말 흡입용 캡슐에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7 생체접착제로서

생체접착 기술은 생체접착성 폴리머를 함유한 부형제를 사용합니다. 생체 점막에 부착함으로써 제제와 점막 사이의 접촉 지속성과 밀착성을 향상시켜 약물이 점막에서 서서히 방출되고 흡수되어 치료 목적을 달성합니다. 현재 위장관, 질, 구강 점막 및 기타 부위의 질환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위장관 생체접착 기술은 최근 몇 년 동안 개발된 새로운 약물 전달 시스템입니다. 이 기술은 위장관 내 약물 제제의 체류 시간을 연장할 뿐만 아니라 흡수 부위에서 약물과 세포막 사이의 접촉 성능을 향상시키고, 세포막의 유동성을 변화시키며, 소장 상피세포로의 약물 침투를 촉진하여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향상시킵니다. 웨이 케다(Wei Keda) 등은 HPMCK4M과 카보머 940의 투여량을 연구 인자로서 정제 코어 처방을 스크리닝하고, 자체 제작한 생체접착 장치를 사용하여 비닐봉지 내 수분의 수질을 통해 정제와 모의 바이오필름 사이의 박리력을 측정했습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NCaEBT 정제 코어의 최적 처방 영역에 HPMCK40과 카보머 940의 함량을 각각 15mg과 27.5mg으로 선택하여 NCaEBT 정제 코어를 제조하였으며, 이는 생체 접착 물질(예: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이 제제의 조직 접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경구용 생체접착제는 최근 몇 년 동안 더욱 연구되고 있는 새로운 유형의 약물 전달 시스템입니다. 경구용 생체접착제는 약물을 구강 내 환부에 부착시켜 구강 점막 내 약물의 체류 시간을 연장할 뿐만 아니라 구강 점막을 보호합니다. 더 나은 치료 효과와 향상된 약물 생체이용률을 제공합니다. Xue Xiaoyan 등은 사과 펙틴, 키토산, 카보머 934P,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 K392), 알긴산나트륨을 생체접착제로 사용하고 동결건조하여 경구용 인슐린을 제조하는 인슐린 경구용 접착정의 제형을 최적화했습니다. 접착 이중층 시트. 제조된 인슐린 경구용 접착정은 인슐린 방출에 유리한 다공성 스펀지와 같은 구조를 가지며, 소수성 보호층을 가지고 있어 약물의 단방향 방출을 보장하고 약물 손실을 방지합니다. Hao Jifu 등 또한, 바이지 글루, HPMC, 카보머를 생체접착 소재로 사용하여 청황색 구슬 형태의 경구 생체접착 패치를 제조하였다.

질 약물 전달 시스템에서 생체 접착 기술은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Zhu Yuting 등은 카보머(CP)와 HPMC를 접착 물질로 사용하고 서방형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다양한 제형과 비율의 클로트리마졸 생체 접착성 질정을 제조하고, 인공 질액 환경에서 접착력, 접착 시간 및 부종률을 측정했습니다. 그 결과, 적합한 처방은 CP-HPMC1:1로 선정되었으며, 제조된 접착 시트는 우수한 접착력을 보였고, 공정이 간단하고 실현 가능했습니다.

3.8 국소 젤로

점착제로서 겔은 안전성, 미용성, 세척 용이성, 저렴한 가격, 간단한 제조 공정, 약물과의 우수한 상용성 등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개발 방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경피 겔은 최근 몇 년 동안 더욱 연구되고 있는 새로운 제형입니다. 경피 겔은 위장관 내 약물 파괴를 방지하고 혈중 약물 농도의 최고 농도와 최저 농도의 차이를 줄일 뿐만 아니라, 약물 부작용을 극복하는 효과적인 약물 방출 시스템 중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

Zhu Jingjie 등은 시험관 내에서 스쿠텔라린 알코올 플라스티드 겔의 방출에 대한 다양한 매트릭스의 효과를 연구하고, 겔 매트릭스로 카보머(980NF)와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K15M)를 사용하여 스크리닝하여 스쿠텔라린에 적합한 스쿠텔라린을 얻었다. 알코올 플라스티드의 겔 매트릭스. 실험 결과에 따르면 겔 매트릭스로서 1.0% 카보머, 1.5% 카보머, 1.0% 카보머 + 1.0% HPMC, 1.5% 카보머 + 1.0% HPMC는 모두 스쿠텔라린 알코올 플라스티드에 적합하다. 실험 중 HPMC는 약물 방출의 동역학 방정식에 맞춰 카보머 겔 매트릭스의 약물 방출 모드를 변경할 수 있으며 1.0% HPMC는 1.0% 카보머 매트릭스와 1.5% 카보머 매트릭스를 개선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그 이유는 HPMC가 더 빠르게 팽창하고, 실험 초기의 빠른 팽창으로 인해 카보머 겔 물질의 분자 간격이 커져 약물 방출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Zhao Wencui 등은 카보머-934와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를 담체로 사용하여 노르플록사신 점안 겔을 제조했습니다. 제조 공정은 간단하고 실행 가능하며, 품질은 "중국 약전"(2010년판)의 점안 겔 품질 요건을 충족합니다.

3.9 자가미세유화 시스템을 위한 침전 억제제

자가 미세유화 약물 전달 시스템(SMEDDS)은 약물, 유상, 유화제, 보조유화제로 구성된 균질하고 안정적이며 투명한 혼합물인 새로운 유형의 경구 약물 전달 시스템입니다. 처방 구성이 간단하고 안전성과 안정성이 우수합니다. 난용성 약물의 경우, HPMC, 폴리비닐피롤리돈(PVP) 등과 같은 수용성 섬유질 고분자 물질을 첨가하여 유리 약물과 미세유화제에 캡슐화된 약물이 위장관에서 과포화 용해되도록 하여 약물의 용해도를 높이고 생체이용률을 향상시킵니다.

Peng Xuan 등은 실리비닌 과포화 자가유화 약물 전달 시스템(S-SEDDS)을 제조하였다. 옥시에틸렌수소화피마자유(Cremophor RH40), 공유화제로서 12% 카프릴산카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글리세리드(Labrasol), 그리고 50 mg·g-1의 HPMC를 사용하였다. SSEDDS에 HPMC를 첨가하면 유리 실리비닌이 과포화되어 S-SEDDS에 용해되고 실리비닌이 침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존의 자가미세유화 제형과 비교했을 때, 약물의 불완전한 캡슐화를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더 많은 양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한다. HPMC를 첨가하면 용해 매질에서 실리비닌의 용해도를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하여 자가미세유화 제형의 유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4. 결론

HPMC는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으로 인해 제제에 널리 사용되어 왔지만, HPMC는 파열 전후 방출 현상과 같은 제제에 많은 단점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개선하기 위해. 동시에 일부 연구자들은 카르바마제핀 지속 방출 정제와 베라파밀 염산염 지속 방출 정제를 제조하여 HPMC에 삼투 이론을 적용하여 방출 메커니즘을 더욱 연구했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점점 더 많은 연구자들이 제제에서 HPMC의 더 나은 응용 프로그램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 특성에 대한 심층 연구와 제제 기술의 개선을 통해 HPMC는 새로운 제형과 새로운 제형에서 더 널리 사용될 것입니다. 제약 시스템 연구에서 HPMC는 제약의 지속적인 발전을 촉진합니다.


게시 시간: 2022년 10월 8일